지난 9월 25일자 제주대신문(제1011호) 1면에는 ‘사회학과는 왜 사회과학대학에 없을까’라는 제하의 기사가 실렸다. 다른 거점국립대학과 달리 사회학과가 인문대학에 편제되어 있는 우리 대학을 “단과대학 특성과 학과 특성의 미스매칭이 이루어진 경우”, “타대학과 비교했을 때 기형적인 모습의 단과대학의 학과나 전공”이라고 평가한 부분은 다소 지나치기도 했지만, 한 번쯤은 다뤄볼만한 소재였다. 그리고 학과 소개를 근거로, 현재 소속 단과대학과의 관련성, 그리고 조직 구성 및 편제의 역사를 훑어 본 것도 인상적이었다.

하지만 기사를 꼼꼼히 읽어보았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학내구성원들”이 제기했다는 “제주대 사회과학대학에는 왜 사회학과가 없는 것이냐”는 의문점에 대한 대답을 찾기는 어려웠다. 사회학과가 1987년 사회과학대학이 법정대학과 경상대학으로 분리 개편될 때 인문대학에 소속된 과정, 2012년 법정대학이 사회과학대학으로 재편될 때에 재편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취재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3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기에 구체적인 상황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는 인터뷰만으로는 의문이 해결될 수 없다.

수 년 전부터 우리 사회는 “4차 산업혁명시대”로 몸살을 앓고 있다. 고등교육 분야도 예외가 아니어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해나가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고 있다. 대학의 기형적인 팽창을 교육개혁으로 여겼던 시절도 있었다. 오늘날 우리는 그 시절에는 꿈도 꾸지 못할 출생률 감소에 따른 학령인구감소 우려로 대학의 구조조정을 교육개혁으로 이해하고 있다. 연결성(Connectivity), 지능화(Intelligence), 유연한 자동화(Flexible automation)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키워드가 급속하게 고등교육 현장을 압박하고 있는 것은 그래서다.

그런데도 “사회학과는 왜 사회과학대학에 없을까”라는 질문이 대학신문 1면 헤드라인 기사로 실리는 것이 오늘날 우리대학의 민낯이다. 구조조정을 전제로 한 특수목적재정지원사업을 앞 다투어 유치하면서도 우리대학은 입학정원의 일괄조정 수준에 그쳤다. 정책당국의 대증요법식 정책이 불러온 폐해이기도 하지만, 학문공동체로서 대학구성원들의 ‘고등교육의 기본과 미래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탓도 있다.

조치훈 9단의 “바둑 한 판 이기고 지는 거 그래봤자 세상에 아무 영향이 없는 바둑. 그래도 바둑, 세상과 상관없이 그래도 나에게 전부인 바둑”이라는 말이 드라마에서 소개된 일이 있다. “사회학과는 왜 사회과학대학에 없을까”라는 질문은 “그래 봤자 바둑, 그래도 바둑” 수준을 넘어서야 한다. 제주대학교가 어떤 수를 두는가는 거점국립대학을 통한 국토균형발전을 내세우는 지금, 지역은 물론 대학민국 전체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사회학과가 사회과학대학에 없을 수도 있는 이유를 학과나 단과대학의 이기주의, 대학본부의 행정편의주의를 넘어서 대학 구성원 모두가 진지하게 고민하고, 토론하기를 바란다. 이제는 제대로 된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