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학생회비 납부율 점차 떨어져
회비 납부한 학생들 혜택 돌아갈 수 있어야
“자치기구에 대한 불신, 무관심 등이 원인”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학생회비 납부율.

학생회비 납부율이 30% 가까이로 떨어졌다. 

학생회비는 등록금을 납부할 때 함께 납부한다. 등록금고지서에는 건강증진센터이용료 4000원과 학생회비 7000원이 있다. 건강증진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이 있거나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과 학생회비를 내고자 하는 학생은 자율적으로 납부하면 된다. 

신입생의 경우 학생회비에 대해 잘 몰라 반드시 내야 하는 돈으로 알고 납부한 학생들도 있다. 학생회비를 납부한 학생들 중에 환불을 원하는 학생은 총대의원회로 연락하면 된다. 

3월 15일 기준으로 2021년 1학기 등록생 9337명 중 3225명(34.7%)의 학생이 총 2278만5000원의 학생회비를 납부했다. 2020학년도 1학기에는 9876명 중 4047명이(40.9%) 2832만9000원을 2019년 1학기에는 1만2명의 학생 중 3242명(32.4%)의 학생이 2269만4000원의 학생회비를 납부했다. 최근 10년간 학생회비 납부율은 60% 정도에서 30% 정도로 떨어졌다.

4대 자치기구와 단과대학 학생회는 학생회비, 후생복지기금, 스폰서와 참가비 등 기타재원을 통해 예산을 지원받는다. 후생복지기금이란 학교 부담금으로 대학회계에서 학생활동지원을 목적으로 해 부담하는 금액이다.

스폰서와 참가비 등은 행사나 사업 진행을 목적으로 단체나 개인을 통해 지원 받는 돈이다. 학생회비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해서 내는 회비다. 학생자치기구는 학생회비를 납부한 학생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정책을 만들고 사업, 행사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학생회비를 내는 학생들이 많아진다면 학생들은 학생회비를 통해 진행되는 학생회 사업과 행사로 이익을 보게된다. 이에 더해, 프린트 사업 등과 같이 학교 생활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의 정책들이 유지될 수 있다. 

학생회비를 내지 않았다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지는 않지만 학생회비를 사용하는 정책과 행사에서는 학생회비를 낸 학생과 차별화를 둬 학생회비를 낸 학생들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올해 학생회비는 중앙자치기구에 50%(1025만3250원), 단과대학 학생회에 50%(1025만3250원) 분배됐다. 중앙자치기구에 할당된 예산을 100%로 환산해 총학생회에 70%(717만7280원), 총대의원회에 20%(205만650원), 동아리연합회에 10%(102만 5320원)분배됐다. 단과대학 학생회에는 각 단과대학 재학 인원의 납부자 수 만큼 배분했다.

2021학년도 물결 총학생회의 예산 집행 계획에 따르면 불요불급한 예산 사용을 최소화하고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1학기 행사를 축소한 뒤 2학기 중 집중적으로 집행한다.

코로나19 특성상 긴급하게 집행해야 할 예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긴축적으로 예산을 운용해 필요한 곳에 사용할 계획이다.

또한 가급적 ‘대학회계-학생활동지원비’, ‘학생회비’와 같은 학생자치기구 자체 예산의 사용을 줄이고 학교의 예산을 활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2학기 중에는 학생회비가 최대한 학생회비를 납부한 학생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물결 총학생회의 정책 중 하나인 ‘학생회비 멤버십’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물결 총학생회는 ‘공유 프린터 대여사업’을 위한 프린터기 2대 구입에 1백만원을 사용했다. 앞으로 매월 문화가 있는 날 및 각종행사 기념품 및 행사진행 비품 구매, 모의토익 지원사업, 흡연부스 설치 등의  분야에 예산을 이용할 예정이다. 

기대 총대의원회는 보궐선거 진행과 보궐선거 설문조사에 예산을 사용했다. 학과대표 간식사업, 선거 캠페인, 맏사내컵 쟁탈전 등에 예산을 이용할 계획이다. 

동력 동아리연합회는 마스크와 손소독제, 간식 구매와 홍보게시판 보수 등에 예산을 이용할 계획이다. 각 예산이용 분야는 달라질 수 있다. 

김정명 총대의원회장은 “학생회비납부율은 학생들로부터 매겨진 학생자치기구에 대한 가치라고 생각한다”며 “8년 전의 절반에 가까운 납부율인 34.7%는 산술적으로만 봐도 낮은 수치임은 확실하다. 이는 학생자치기구에 대한 불신, 무관심 등 다양한 시대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불가피한 사항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대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